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Today
Total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관리 메뉴

나쵸

방화벽을 이용한 원격 연결 - 1 본문

IT

방화벽을 이용한 원격 연결 - 1

violeton 2019. 9. 6. 15:48

우리 회사는 보안상 회사의 공인 IP가 아니면 ERP,MES,그룹웨어 등등 접속조차 되지 않는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집에가서 일을 해야하므로(이쯤되면 거의 노예) VPN ID를 발급하기도 하는데
어쨌든 내가 IP를 발급해야하니 회사 PC를 접속해야한다..
퇴근후에 회사에 다시 갈수는 없는 노릇이고 집에서 편하게 해결을 하고자 다음과 같이 해결함.

 

 

- 준비물 : 공인IP,방화벽(아이피타임 같은 공유기도 상관없음)

 

 

솔직히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통해 원격 접속이라던지 DDNS를 통해 원격 접속이라든지
이런 설명은 다른 블로그나 구글링을 조금만 해도 정보가 엄청나게 많기에 이건 패스 하고
방화벽 NAT를 통해 원격을 연결해 보겠다.

 

 

1. 보안을 위한 원격 포트 변경
  : 솔직히 이 작업은 안해도 된다.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3389번의 포트를 원격 포트로 설정해
    놓았기 때문이지.  하지만 해커들도 이걸 알기때문에 바꾸는거다.
    윈도우키+R 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운 뒤 regedi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나온다.
    제대로 나왔다면 아래의 경로를 잘 보고 따라가보자

 

여기까지 잘 따라왔다면 우측에 PortNumber라는 항목이 보일건데 더블클릭해서 일단 10진수로
변경을 해주겠다. 누군가가 이 항목을 변경하지 않았다면 대부분 3389로 되어있을거다.
이 항목의 값을 자기가 원하는 숫자로 변경을 해주시면 되겠다.

 

변경 후 확인을 누르고 창을 살포시 닫는다.
자 하지만 여기서 알아둬야 할 한가지!
우리는 원격 포트를 변경을 했지만 아직 3389포트는 살아있다라는 것.
값은 강제로 바꿨지만 열려있는 포트에 대해서는 종료시키지 않았으므로 강제 종료를 시켜줘야
하는데 그냥 재부팅을 하면 만사해결이다.
찾아서 고생하고 싶다면 taskkill이란 명령어로 프로세스를 죽이는 방법이 있다.(이건 그냥 알아만 두자)

Comments